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85

빨래 쉰내 없애는 획기적인 방법 빨아도 빨아도 세탁물에서 냄새가 납니다. 면이나 린넨(마)는 삶아도 보고, 삶을 수 없는 세탁물, 운동복 쉰내 냄세제거가 가능하다는 세탁세제, 섬유유연제 등 안해본 것이 없지만, 왜 세탁물에서 쉰내가 날까요? 여름만 그런 것이 아니고요, 계절을 가리지 않습니다. 다만 여름에 땀을 더 많이 흘리니 냄새가 더하긴 합니다. 어떻게 하면 이 쉰내를 없앨 수 있을까요? 가장먼저 이해해야 할 것은 인간의 몸에서 나오는 땀 등은 물 성분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물 성분만 있다면 이렇게까지 쉰내가 날 리가 없거든요.세탁기 내부가 정말 많이 더러워서 일까요? 그건 빙산의 일각입니다. 그럴 수도 있겠지만 대부분 아니라고 봐야 합니다. 요즘 심지어는 세제만 써도 세탁기가 청소되는 약 알칼리 세제가 수두룩 하니까요. 또한 .. 2025. 9. 2.
뒤돌아봐서 은총을 상실한 이야기 뒤돌아보았기 때문에 하나님의 은총(구원)을 상실한 대표적이 이야기들이 있습니다. 어떤 이야기들이 있을까요? 📖 성경 본문:창세기 19장 26절"롯의 아내는 뒤를 돌아보았으므로 소금 기둥이 되었더라."🧾 배경 설명:하나님은 소돔과 고모라의 죄악으로 인해 두 성을 멸망시키기로 하셨습니다.롯과 그의 가족은 천사들의 인도를 받아 그 성에서 탈출하게 되었습니다.천사들은 "뒤를 돌아보지 말라"고 명령했지만,롯의 아내는 뒤돌아보고 말았고, 그 결과로 소금 기둥이 되어버립니다.🧠 상징적 의미:하나님의 명령을 어긴 결과: 경고를 무시하고 불순종한 결과.과거에 대한 미련: 죄악된 삶에 대한 미련, 세속에 대한 집착.구원의 기회 상실: 하나님의 은혜에서 멀어지는 상징. 📖 누가복음 9장 62절 (개역개정)"예수께.. 2025. 8. 31.
초기 지구의 대기를 구성하는 물질은 지금과 달랐을까? 이 지구에 사는 우리는 너무 당연하게 산소를 들이마시고 이산화탄소를 내뿜고 있습니다. 그런데, 약 45억년 전 지구가 처음 생겼을 때도 대기에 산소가 있었을까요? 만일 처음에는 산소 대기가 아니었다면, 언제부터 왜 어떻게 산소대기로 바뀌었을까요? 🌌 1. 초기 우주에는 수소와 헬륨뿐이었음빅뱅 직후 우주에는 거의 대부분 수소(75%)와 헬륨(25%), 그리고 아주 미량의 리튬만 있었어요.산소, 탄소, 철 같은 무거운 원소는 없었습니다.🌟 2. 산소는 별의 내부에서 만들어진 원소항성의 핵융합 과정에서 수소 → 헬륨 → 탄소 → 산소 → 규소 → 철... 이런 순서로 무거운 원소가 만들어져요.태양보다 훨씬 큰 별들이 수명을 다하면 **초신성(Supernova)**으로 폭발하면서, 그 안에서 만들어진 산소를.. 2025. 8. 31.
연주시차(parallax)가 1초각(1 arcsecond)이란 무엇? 1. 연주시차(annual parallax)란?정의: 지구가 1년 동안 태양 주위를 공전할 때, 가까운 별이 배경의 먼 별들에 비해 위치가 조금 움직여 보이는 현상.원리:우리가 양쪽 눈으로 물체를 볼 때 물체가 살짝 위치를 달리 보이는 걸 양안시차라고 하죠?천문학에서는 “두 눈” 대신 지구의 공전 궤도 양 끝점을 사용합니다.지구가 6개월 간 태양 반대편으로 이동했을 때, 가까운 별의 위치가 미세하게 바뀌는 각도가 연주시차각입니다.2. 1초각(1 arcsecond)이란?각도의 단위:1도(°) = 60분(′)1분(′) = 60초(″)따라서 1초각 = 1/3600 도 = 약 0.000277… 도얼마나 작나?만약 눈으로 본다면, 약 1km 떨어진 곳에 있는 5mm 물체를 보는 것과 비슷한 각도입니다.초정밀 관측.. 2025. 8. 30.
천문단위(AU), 광년(light-year), 파섹(parsec) 천문단위(AU), 광년(light-year), 파섹(parsec) 등의 단위는 천문학에서 자주쓰이는 단위입니다. 어느정도 차이가 있는지 한번 비교해 보겠습니다. 1. AU (Astronomical Unit, 천문단위)정의: 태양과 지구 사이의 평균 거리값: 약 1억 4천9백60만 km (149,597,870.7 km)용도:태양계 내의 거리 표현 (행성, 혜성, 소행성 궤도 거리 등)예: 화성까지 평균 거리 ≈ 1.52 AU왜 쓰나?태양계 안에서는 km로 표현하면 너무 큰 숫자가 되기 때문에 AU로 쓰면 편리2. 광년 (light-year)정의: 빛이 진공에서 1년 동안 이동하는 거리값: 약 9조 4천6백억 km (9.46 × 10¹² km)용도:별과 별 사이의 거리, 은하까지의 거리 표현예: 태양에서.. 2025. 8. 30.
혜성과 행성, 혜성궤도와 행성궤도 우리 태양계에는 행성만 있는 것이 아니라 혜성도 있다. 오오트 구름, 카이퍼 벨트, 소행성대도 있다. 이 중에서 특히 혜성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행성과 혜성은 어떻게 다른가? 행성 궤도와 혜성 궤도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누가 언제 생겼나? 혜성은 어떤 종류가 있는가? 혜성에 대한 여러가지 궁금증이 있는데, 하나씩 풀어보자. 🔭 1. 혜성 궤도는 왜 행성과 다르게 찌그러졌나?행성: 태양 주위를 도는 원반 모양(원시 행성 원반, protoplanetary disk)에서 만들어졌습니다. 원반 안의 물질이 회전하면서 비슷한 평면과 거의 원형 궤도를 이루었어요. → 그래서 궤도가 둥글고 평면적.혜성: 태양계의 바깥쪽, 훨씬 차갑고 희박한 영역(카이퍼 벨트·오르트 구름)에서 태어났습니다.목성, 토성 같은 거.. 2025. 8. 30.
인간의 불 발견과 배후 의식 '인간은 주위에서 일어나는 모든 현상의 배후를 의식한다'(출처 :칼 세이건, 코스모스)고 말했는데, 우리 조상들이 '불'이라는 것을 발견했을 때 배후를 의식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 어떤 것이 있을까요? 어떤 현상에 대해 배후를 의식한다는 것은 현상을 그저 감각적으로 받아들이는 데 그치지 않고 원인이나 목적을 추론하려는 본능적 태도에서 기인합니다. 그렇다면,🔥 조상들이 '불'을 발견했을 때 '배후를 의식'한다는 것은?우리 조상들이 불을 처음 목격했을 때, 단순히 "뜨겁다", "밝다"는 감각적 반응을 넘어서 다음과 같은 질문과 상상을 했을 가능성이 큽니다:1. 불은 어디서 오는가?천둥 번개가 치고 나무가 타는 걸 봤을 때,“왜 번개가 떨어지면 불이 생기지?”“하늘이 화난 건가?”→ 불이라는 현상의 배후에 어.. 2025. 8. 22.
지구의 물은 어디에서 왔을까? 지구에 물이 생긴 과정은 매우 흥미롭고 오랜 논의의 대상이 되어온 주제예요. 지구가 생긴 것은 약 45억 년 전인데, 물이 어떻게 생겼는지는 크게 두 가지 이론으로 설명됩니다. 🌍 1. 지구 내부 기원설 (내부에서 만들어짐)지구가 생성될 때, 많은 화산활동이 있었어요.이때 화산 가스 중에 수증기(물의 기체 형태)가 다량 방출되었고,이 수증기가 식으면서 비로 변해, 오랜 시간에 걸쳐 바다와 호수 같은 물을 형성했단 이론입니다.즉, 지구 내부에 있던 수소(H)와 산소(O)가 결합해 물이 생겼다는 거예요. ☄️ 2. 외부 기원설 (우주에서 왔다는 설)지구 생성 초기에는 너무 뜨거워서 물이 남아있을 수 없었어요.이후 지구가 식은 후, 운석이나 혜성이 충돌하면서 물이 들어왔다는 이론입니다.혜성이나 소행성에는 얼.. 2025. 8. 22.
갱년기 증상 심장 두근거림 갱년기 증상 심장 두근거림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갱년기 증상의 순위에 올라가지 않는다. 갱년기 증상으로 가장 유명한 증상을 줄세우면 한 5번째나 8번째쯤 자리한다. 그래서 다른 병으로 여겨 검사를 받아보면 별다른 이상이 발견되지 않을 수 있다. 갱년기란?폐경과 관련된 호르몬의 변화에 따른 신체적, 심리적 변화를 말한다.(사실상, 호르몬의 변화로 인한 것이므로 심리적 변화라는 것은 조금은 알맞은 설명이 아닐 수도 있으나, 겉으로 보기에 그렇게 보이므로, 심리적 변화를 설명한다.) 갱년기의 주요 원인여성호르몬 에스트로겐의 감소--> 난소기능 저하, 자궁, 유방, 뇌, 심장, 혈관, 뼈, 전정기관 노화, 뇌기능 혼란, 교감 부교감 신경 오작동 등등 전신에 걸쳐 호르몬 감소의 증상이 나타남 몸의 변화안면홍조.. 2025. 8.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