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단위(AU), 광년(light-year), 파섹(parsec) 등의 단위는 천문학에서 자주쓰이는 단위입니다. 어느정도 차이가 있는지 한번 비교해 보겠습니다.
1. AU (Astronomical Unit, 천문단위)
- 정의: 태양과 지구 사이의 평균 거리
- 값: 약 1억 4천9백60만 km (149,597,870.7 km)
- 용도:
- 태양계 내의 거리 표현 (행성, 혜성, 소행성 궤도 거리 등)
- 예: 화성까지 평균 거리 ≈ 1.52 AU
- 왜 쓰나?
- 태양계 안에서는 km로 표현하면 너무 큰 숫자가 되기 때문에 AU로 쓰면 편리
2. 광년 (light-year)
- 정의: 빛이 진공에서 1년 동안 이동하는 거리
- 값: 약 9조 4천6백억 km (9.46 × 10¹² km)
- 용도:
- 별과 별 사이의 거리, 은하까지의 거리 표현
- 예: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별 프록시마 센타우리 ≈ 4.24 광년
- 주의:
- ‘광년’은 시간이 아니라 거리 단위
- 빛의 속도(약 300,000 km/s) × 1년(초)으로 계산
3. 파섹 (parsec)
- 정의: 연주시차(parallax)가 1초각(1 arcsecond)일 때의 거리
- 값: 약 3.26 광년 ≈ 30조 8천억 km (3.086 × 10¹³ km)
- 용도:
- 천문학에서 가장 표준적인 대형 거리 단위
- 관측으로 직접 측정 가능한 단위이기 때문에 연구에서 자주 씀
- 1 kpc(킬로파섹) = 1,000 pc, 1 Mpc(메가파섹) = 1,000,000 pc
- 이름 유래: parallax + arcsecond의 합성
- 예: 은하수 중심까지 ≈ 8 kpc
단위 간 관계
- 1 AU ≈ 1.496 × 10⁸ km
- 1 광년 ≈ 63,241 AU
- 1 파섹 ≈ 206,265 AU ≈ 3.26 광년
📌 간단 비유
- AU: “태양계 안” 거리 (예: 집 안 방 사이 거리)
- 광년: “별과 별 사이” 거리 (예: 이웃 마을까지 거리)
- 파섹: 관측 기준으로 재는 공식 거리 (예: 지도에서 측량기로 재는 거리)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