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탁 이후에 세탁물에서 여전히 냄새가 난다면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요?

세탁을 했는데도 불구하고 세탁물에서 여전히 냄새가 난다면 일단 세탁기 내부 청소를 해야 합니다. 세탁기가 깨끗한데 세탁물에서 냄새가 난다면 평소 세탁기를 어떻게 사용하고 있었는지 살펴보고 세탁세제를 세탁물 종류에 따라 세탁세제도 다르게 사용하여 세탁하여야 합니다.
세탁 이후에 세탁물에서 냄새가 나는 경우
세탁기 상태 점검하기
- 세탁기 점검 : 세탁기가 깨끗하지 않습니다. 세탁기에 먼지, 세제찌꺼기 등이 쌓이면 세탁물에서 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 세탁기 뚜껑을 열어두어야 합니다. : 평소에 세탁기 뚜껑을 닫아 두었다면 세탁기 속에 곰팡이 및 각종세균 생길 수 있고 냄새를 유발합니다.
- 세탁실 자체가 습할 경우 : 세탁실을 자주 환기하여 건조한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습하면 곰팡이 등이 생기고 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 세탁기 속에 세탁 전 세탁물을 오래 방치한 경우 : 세탁해야 하는 옷을 세탁기 안에 넣고 아직 세탁을 하지 않은 채로 오래 두면 그 속에서 곰팡이나 박테리아가 많이 생겨나게 되어 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 지속적으로 찬물로만 세탁하는 경우 : 완전히 녹지 않는 세제들이 계속해서 생길 수 있고, 냄새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세탁할 때, 세탁물을 너무 많이 넣고 세탁하는 경우 : 세탁기 제조사의 지침대로 세탁물 대비 물의 양을 선택하세요. 세탁물을 과하게 넣고 세탁할 경우 세제찌꺼기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건조기 청소 : 문제가 세탁기가 아닌 건조기일 수도 있습니다. 보푸라기(먼지)와 건조기 통풍구 등을 주기적으로 청소하여 악취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것들을 제거하기 바랍니다.
해결 방법
1. 세탁실 환기하기 : 세탁실 습기 제거에 늘 신경을 씁니다.
2. 세탁기 뚜껑을 항상 열어두기 : 세탁기 내부의 습기제거에 늘 신경을 씁니다.
3. 세탁기 청소하기
- 식기세척기 세제(2-3개 정도)를 넣고 걸레를 넣고 뜨거운 물로 세탁기 청소를 합니다.
- 세탁기 전문 청소업체를 불러서 세탁기 청소를 합니다.
4. 세탁물을 세탁기 통에 모아서 넣어둔 채로 오래 두지 마세요. 아니면 세탁물을 세탁기 밖에 따로 두었다가, 세탁할 때 세탁기 안에 넣고 세탁합니다.
5. 세탁물 헹굼시 백식초나 구연산을 넣어 세탁세제를 중화시킵니다. 냄새도 중화하고 세탁물을 상쾌하게 합니다.
6. 특정 속옷이나 운동복은 땀냄새 등을 잘 없앨 수 있는 특수한 세제를 이용하여 세탁하기를 권해드립니다.
- 예를 들어, 등산복, 운동복이나 속옷은 땀냄새가 찌들 수 있으므로 전용 세제를 이용합니다.(특유취를 없앨 수 있습니다.)
7. 수건 등에서 걸래냄새가 나는 경우, 락스를 물에 많이 희석하여 빨래 세제와 함께 사용합니다. 단, 흰색 수건이어야 하며, 락스는 탈색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충분히 희석해서 사용하여야 합니다.
8. 여름철 등, 습도 자체가 너무 높을 때, 빨래를 말릴 때, 반드시 습기제거할 수 있는 제습제나 선풍기를 이용하여 말려야 합니다. 아무리 빨래를 잘 했어도 빨래 마르는 환경이 높은 습도 상태이면 제대로 마를 수 없어서 쉰내가 날 수 있습니다.
이런 방법들을 사용한다면 대부분의 문제가 사라집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제가 지속된다면 세탁기 관련 전문가나 세탁전문가에게 조언을 구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세탁물 종류 점검하기
세탁물 종류 특성상 기름때가 산폐하면서 쉰내를 유발합니다. 이런 경우, 다시 세탁해도 세탁물에서 쉰내가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1. 석유(폴리에스테르 등) 계열 : 친유성 섬유 옷감 : 우리 몸의 땀 등은 몸의 기름과 같이 옷감에 묻어서 달라붙습니다.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석유계열의 옷은 기름 때를 더 잘 흡착하고 제대로 빨리지 않으면 기름 때는 옷감에서 상하면서 산패합니다. 기름이 오래되면 쩐내 나 시큼한 쉰내가 납니다. 그러므로 운동복 전용 세제 등을 이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운동복 빨고 나면 정말 빨리 마르지요? 이 석유계열 옷감은 물을 머금지 않기 때문이랍니다. 수영장 놀러갈 때, 수건(비치타월)을 폴리에스테르 계열로 사용하면 젖었다가도 빨리 마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 면, 린넨 계열 : 친수성 섬유 옷감 : 면, 린넨, 울 등은 물에 젖으면 물을 쫙 빨아들이면서 엄청 무거워지고, 잘 마르지 않습니다. 특히 겨울에 등산 등을 갈 때, 내의로 면계열을 입으면 땀이 젖고나서 마르지 않아 몸의 체온을 유지하기 힘듭니다. 이런 특징은 빨래할 때 좋은 점도 있습니다. 면, 린넨 계열은 세탁세제만 잘 이용해도 세탁 후에 잘 말렸다면 냄새가 잘 나지 않습니다. 그러나 한국의 습한 여름은 예외입니다. 제습기나 선풍기 없이 말리면 물기가 잘 마르지 않기 때문에 곰팡이로 인한 쉰내가 납니다.
이제 정말로 세탁 후 냄새나는 빨래, 이 쉰내는 어떻게 제거해야 할까요?
위의 방법으로 안된다면, 바로 이 쉰내는 몸에서 나온 기름이 옷감에 흡착되어 산패된 것이고, 이 기름 쩐내가 나는 것이랍니다. 그러니 아무리 과탄산, 식초, 세균제거, 냄새제거 세제를 써도 효과를 내기 어려웠을 것입니다.
아무리 해도 안되는데,, 빨았는데 냄새가 나니 좌절스럽기도 했지요.
버리고 새로 사야만 하나!!!??? 고민될 수 밖에 없습니다.
산패된 기름을 제거해야 합니다.
기름을 제거하는 방법은 기름을 녹여내는 것입니다.
그럼, 뜨거운 물에 삶을까요???
아닙니다.. 해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머릿수건, 베개닛(커버), 행주 등 삶아도 안되는 시점이 옵니다. 삶아도 안되면 버리지요. 버릴 때가 된 거라고 하지요. 이것이 상식이었답니다.
물론 충분히 여러번 사용하였으니까 낡아서 버릴 때가 되었을런지도 모르겠지만, 그것보다는 아무리 해도 냄새를 제거할 수 없어서 버리는 경우가 상당히 많았을 것입니다.
이제 조금만 생각해 봅시다.
작업적으로, 기름이 뭍을 수 밖에 없는 옷이 있습니다.
바로 요리복, 정비복, 작업복 등 입니다.
이 옷들은 그럼 몇번 입고 버립니까?? 뭐 작업의 종류나 상황에 따라 그럴 수도 있겠지만요!
이 옷들을 빠는 전용 세제가 있습니다.
정말 신기하답니다.

세탁기에 이 작업복 전용세제와 물을 대략 4:6의 비율로 넣고
물 온도는 30-40도 이상,
세탁물의 옷감 색은 확실히 구분하세요. 밝은 색끼리, 어두운 색끼리.
(이염 발생 합니다. 조심하기 바랍니다.)
불림기능을 합니다.
불림을 좀 많이 하세요.
그리고 평소대로 빨래합니다.
만일 빨래 쉰내가 정말 많이 난다면
따로 대야에 작업복 전용세제와 물을 대략 5:5비율로 넣고
담그어 주세요. 물은 30~40도 이상 따뜻하면 좋겠네요.
쉰내가 사라지면서, 너무나 기뻤습니다.
모두 기쁨을 만끽하시기 바랍니다!
자발적 회수 권고 콜대원 키즈펜시럽, 파인큐 아세트펜시럽, 식약처 회수처분 챔프 시럽
자발적 회수 권고 콜대원 키즈펜시럽, 파인큐 아세트펜시럽, 식약처 회수처분 챔프 시럽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의하면, 최근 상분리 현상이 확인된 대원제약의 '콜대원 키즈펜 시럽' 및 동일한 제조방법으로 대원제약이 수탁제조한 다나젠의 '파인큐아세트펜시럽'등에 대해 자발적 회
a01.jinia100.com
엘니뇨 라니냐 기본정보 원인 기후변화 날씨 환경 영향
엘리뇨와 라니냐의 영향으로 지구 곳곳은 기후변화의 격변 속에 있습니다. 너무 덥고 너무 비가 많이 오거나 너무 비가 안 와서 강바닥을 드러내거나 댐으로 수몰되었던 수몰지가 고스란히 드
a01.jinia100.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