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혜성과 행성, 혜성궤도와 행성궤도

룰루!! 2025. 8. 30. 23:29

우리 태양계에는 행성만 있는 것이 아니라 혜성도 있다. 오오트 구름, 카이퍼 벨트, 소행성대도 있다. 이 중에서 특히 혜성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행성과 혜성은 어떻게 다른가? 행성 궤도와 혜성 궤도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누가 언제 생겼나? 혜성은 어떤 종류가 있는가? 혜성에 대한 여러가지 궁금증이 있는데, 하나씩 풀어보자.

 

🔭 1. 혜성 궤도는 왜 행성과 다르게 찌그러졌나?

  • 행성: 태양 주위를 도는 원반 모양(원시 행성 원반, protoplanetary disk)에서 만들어졌습니다. 원반 안의 물질이 회전하면서 비슷한 평면과 거의 원형 궤도를 이루었어요. → 그래서 궤도가 둥글고 평면적.
  • 혜성: 태양계의 바깥쪽, 훨씬 차갑고 희박한 영역(카이퍼 벨트·오르트 구름)에서 태어났습니다.
    • 목성, 토성 같은 거대 행성들의 중력 섭동 때문에 궤도가 쉽게 찌그러지고 기울어졌습니다.
    • 특히 오르트 구름의 혜성은 외부 별이나 은하 중력에 영향을 받아, 태양 가까이 오면 **심하게 찌그러진 궤도(이심률↑)**가 됩니다.

⏳ 2. 행성과 혜성은 같은 시기에 생겼을까?

  • 형성 시기 자체는 비슷합니다. 모두 약 46억 년 전 태양계 원시 원반에서 만들어졌어요.
  • 하지만 성격이 달라요:
    • 행성: 원반 내부에서 빠르게 응집 → 태양 근처는 바위/금속(지구형 행성), 먼 곳은 얼음+가스(목성형 행성).
    • 혜성: 원반 바깥 차가운 지역에서 작은 얼음+먼지 덩어리로 남음.
  • 그래서 “다른 시기에 생겼다기보다는, 같은 시기에 다른 환경에서 진화했다”가 더 정확해요.
  • 누가 더 늦게 생겼냐?
    • **혜성은 행성보다 완성도가 낮고, ‘잔여물(Leftover)’**로 남았기 때문에 행성보다 늦게 커진 게 아니라, 아예 행성처럼 크게 성장하지 못한 채 남아있음이라고 보는 게 맞습니다.

🌌 3. 장주기 vs 단주기 혜성 → 누가 더 찌그러진 궤도?

  • 장주기 혜성:
    • 오르트 구름 출신, 공전 주기 수천~수백만 년.
    • 태양과 멀리 떨어져 있다가 별이나 은하 중력에 밀려 들어옴.
    • → 궤도가 거의 **포물선(이심률 ≈ 1)**에 가깝게 찌그러짐.
  • 단주기 혜성:
    • 카이퍼 벨트 출신, 주기 수백 년 이내.
    • 목성 같은 행성의 영향을 받아 궤도가 단축됨.
    • → 장주기보다 덜 찌그러진 타원.
  • ✅ 결론: **장주기 혜성이 훨씬 더 찌그러진 타원(고이심률 궤도)**을 가집니다.

👉 정리하면:

  • 행성은 둥근 원반에서, 혜성은 바깥쪽 찬 곳에서 같은 시기에 태어났지만 환경 차이로 성격이 달라짐.
  • 혜성 궤도가 찌그러진 이유는 거대 행성과 외부 중력의 영향.
  • 장주기 혜성이 단주기보다 궤도가 훨씬 더 찌그러져 있음.

 

혜성에 대하여.....

 

 

 

🚀 1. 혜성이 충돌할 수밖에 있는가?

  • **“언젠가 무조건 충돌한다”**는 건 과학적으로 맞지 않습니다.
    • 대부분의 혜성은 태양 가까이 올 때 가스·먼지를 방출하다가 점점 작아져 사라지거나
    • 목성·토성 같은 거대 행성 중력에 의해 궤도가 바뀌어 태양계 밖으로 튕겨져 나가기도 합니다.
    • 그래서 충돌 확률은 존재하지만, 필연은 아님.

🌌 2. 그런데 왜 충돌 가능성이 생기나?

혜성 궤도가 행성 궤도와 교차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행성은 원에 가까운 안정된 궤도를 돔.
  • 혜성은 찌그러진 타원 궤도라서, 태양 가까이 올 때 지구 궤도나 다른 행성 궤도와 교차하는 경우가 생김.
  • 이때 궤도 계산상 충돌 확률이 0은 아님.

🪐 3. 실제로 충돌한 사례

  • 1994년 슈메이커–레비 9 혜성이 목성과 충돌. → 목성 대기에 거대한 흉터가 수주간 관찰됨.
  • 지구도 과거에 여러 번 충돌 흔적이 있어요.
    • 약 6600만 년 전, 멕시코 유카탄 반도의 칙술루브 크레이터 → 공룡 멸종과 연관.

⏳ 4. 미래 전망

  • 태양계는 수십억 년 동안 중력이 복잡하게 얽힌 시스템이라, 수천~수백만 년 단위로 보면 혜성·소행성이 궤도 변화를 일으켜 충돌 가능성이 열려 있음.
  • 다만, 확률은 낮고, 가까운 수백 년 내 지구와 확실히 충돌할 것으로 예측된 혜성은 현재 없음.
  • 그래서 전 세계적으로 NASA, ESA 등이 NEO(근지구천체) 모니터링 프로젝트를 가동 중.

✅ 결론:

  • 혜성은 궤도가 교차하므로 “충돌 가능성”은 언제나 있지만, 반드시 충돌해야 하는 건 아님.
  • 대부분은 소멸하거나 궤도에서 벗어남.
  • 하지만 긴 시간 스케일에서는 행성(특히 지구)과 충돌할 수도 있어, 과학자들이 계속 추적 관측 중.

 

혜성에 대해 연관된 영화를 하나 추천하자면, 돈 룩 업을 추천합니다.

 

반응형